Tra equivalenza ed efficacia: la comicità coreana nella traduzione audiovisiva

Main Article Content

Imsuk Jung
Kukjin Kim

Abstract

Between Equivalence and Effectiveness: Korean Humor in Multimedia Translation


Humor can be defined as a cognitive experience aimed at eliciting laughter and amusement, particularly when conveyed through language in various forms (cf. Salmon, 2004). Its primary function is to provoke laughter in the listener, with the expectation that this effect will be preserved in translation. However, the multifaceted nature of humor, which encompasses linguistic, cultural, situational, and contextual elements, presents a significant challenge in achieving an adequate translation, particularly between languages as linguistically and culturally distinct as Korean and Italian. The translation of humor is widely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tasks for translators, due to its intricate nature and the profound interconnection between its nuances and the necessary linguistic, cultural, and contextual expertise. In relation to the Korean language, substantial compara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volving foreign languages such as English, Japanese, Chinese, and Germa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ontrastive analysis of the subtitling of wordplay in Korean audiovisual content, motivated by the significant interest in this area over the past two decades, especially within the field of audiovisual translation. Therefore, the analysis will be focused on the humorous content of the movies and series, particularly wordplay, as these elements are deeply rooted in cultural specifics and require a high level of creative translation effort. It is of the utmost importance that the target language be shaped in such a way that idiomatic phrases, collocations, proverbs, or fixed expressions reflect a form of idiomaticity that preserves the original humor structures. In this regard, considerable emphasis will be plac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translation” and the issue of the “othe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ranslating humorous elements, despite the inherent challenges that may arise in each case. The examination of selected examples will assist in identifying a variety of potential solutions, some of which may prove effective, and facilitate a rapid parallel comparison between the languages under stud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초록


유머를 웃음을 유발하는 인지적 경험으로 정의할 때 (Salmon, 2004), 청취자로 하여금 재미를 느끼고 웃음을 터트리게 하는 효과는 다른 언어로 번역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기대된다. 그러나 유머는 본질적으로 언어적, 문화적, 상황적, 맥락적 요소를 포괄하는 다면적 성격을 가지고 있기에 특히 출발어와 도착어가 한국어나 이탈리아어와 같이 언어적, 문화적으로 상이할 때 이를 적절하게 번역해 내는 작업은 굉장히 까다롭기에 마련이다. 특히 유머 번역은 출발어와 도착어 양자의 언어적, 문화적 맥락을 세밀하게 읽어내는 전문성을 필요로 하기에 번역가들이 직면하는 큰 어려움의 대상이 된다. 한국어의 경우 영어,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등을 대상으로 하는 유머 번역 관련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이에 여기에서는 한국 영화와 드라마에 등장하는 유머의 이탈리아어 번역을 사례로 대조언어적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무엇보다 문화적 특수성이 강하게 반영되는 언어유희적 요소에 집중하였으며, 특히 출발어의 유머가 지닌 언어적 구조를 최대한 살리는 노력이 요구되는 관용구, 연어, 속담 등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유머의 번역 가능성 및 번역 전략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세부적인 유머 번역 예시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을 통해 유머 번역이 수반하는 잠재적 어려움과 그 해결책을 가늠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키워드: 유머; 시청각번역; 문화번역; K-드라마

Metrics

Metrics Loading ...

Article Details

How to Cite
Jung, I., & Kim, K. (2024). Tra equivalenza ed efficacia: la comicità coreana nella traduzione audiovisiva. Traduction Et Langues, 23(2), 118-140. https://doi.org/10.52919/translang.v23i2.999
Section
Articles